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7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 14년 만에 재가동 - 원달러 환율 1700원? 킹달러 → 갓달러 킹(King)달러도 아니다. 이제 갓(God)달러다. 왕도 아니고 신의 지위를 넘보는 달러, 원달러환율 과연 어디까지 치솟을지? 또 1440원을 뚫었다. 1400원도 이제 옛말이다. 어제 영국 미국 국채금리 하락 덕에 오늘 외국인들이 증시에 유입되며 소폭 하락했는데,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현실적으로 환율은 연준 금리인상과 발맞추어 계속 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불황마다 찾는 안전자산 기축통화 달러의 위엄이다. 한미 금리가 이미 역전되기도 했고 무역수지도 줄어드는 마당에 별다른 호재가 없다. 대내적, 대외적 요인 모두 원달러 환율이 치솟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관세청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올해 무역수지는 지난 4월(-25억800만달러)부터 8월(-94억7000만달러)까지 5개월.. 2022. 9. 29.
영국 국채금리 급락, 나스닥 2% 급등, 다시 양적완화? 찐반인가? 간만의 반등이다. 간밤에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548.75포인트(+1.88%) 올라 다시 3만 선에 근접했다. 나스닥은 222.13포인트(+2.05%), S&P500은 71.75포인트(+1.97%) 각각 상승했다. 애플은 아이폰 14 생산량을 감축한다는 소식에 애플 너마저.. 본격 경기 침체 - 기업 실적 악화 우려에 하락했고, 대부분의 종목들은 매크로 호재에 상승했다. 금리가 한달에 막 0.75bp씩 오르는데 주가 상승이라니? 이제 찐바닥 다 왔나? 기대감이 생길 법한데.. 실상은 좀 다르다. 영국의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적극적인 시장 개입으로 국채 금리를 강제로 누른 것이다. 이 소식에 영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순식간에 0.5%p 이상 급전직하했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도 덩달아 내리며.. 2022. 9. 29.
빚투 동학개미 패닉셀? 강제청산, 반대매매 공포 (ft. 삼성전자 하이닉스 52주 신저가) 10만전자 외치던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4만전자 타령이다. 삼성전자 주가는 '동학개미운동'이 한창이던 2021년 1월, 이제 다신 오지 않을 것 같은 최고점 96,800원을 찍고 2년째 흘러내리고 있다. 하이닉스도 고점(150,500원) 대비 반토막 수준이다. 국민주라 불리던 시총 상위주들이 연일 52주 신저가를 기록하며 국민 배신주로 돌변하고 있다. 우량주는 모아가는 거라며 적금 대신 적립식 투자하는 개인 1픽 삼성전자 주가가 이 지경이니 개인 투자자들이 멘붕에 빠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삼성전자 망하면 우리나라 망하는 거라며, 우량주 장기 가치투자가 정석이라는 '전문가'들의 말에 홀딱 속아넘어간 것 같은 씁쓸함도 덤이다. 그들의 무적의 까방권 있지 않나. 투자는 100% 개인 책임이라고. 바닥 밑.. 2022. 9. 28.
원달러 환율 연말 1500원? 제2의 IMF 금융위기? 어제 코스피 지수는 2,220.94로 -3.02%, 코스닥은 692.37로 -5.07% 하락 마감하며 역사적인 '블랙먼데이'를 기록했다. 환율은 1430원을 넘어섰고, 1500원 선도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역사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선 것은 딱 두 번뿐이다. 1997년 IMF 때 최고점 1965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1573원. 킹달러 위엄이 아시아 금융시장에 핵폭탄급 위협으로 다가오는 모습이다. 일본과 중국도 환율에 몸살을 앓고 있다. 엔화는 달러당 140엔을 넘어섰고, 위안화 역시 심리적 저지선이라 불리는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선 상황. 미국과 달리 여전히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위안화 엔화 가치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중.. 2022. 9. 27.
또 블랙먼데이, 원달러 환율 1420원 돌파, '킹 달러' 왕의 귀환 지난 9월 24일 새벽(우리나라 기준) 미국 증시가 또 한차례 폭락했다. 다우지수가 29,590.31로 -1.62% 하락 마감, 나스닥은 10,867.93로 -1.8%, S&P 500은 3,693.23으로 -1.72%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3만 선이 무너지며 2020년 이후 최저치 기록, 나스닥과 S&P 500은 지난 6월 16일(미국 기준) 각 전저점인 10,646.10, 3,666.70에 다시금 근접한 모습이다. 주가 하락 공포, 경기 침체 우려로 글로벌 안전 자산인 달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수밖에 없는 상황. 자이언트 스텝 금리 인상까지 계속되니 귀하신 몸 대접받는 '킹 달러', 왕의 귀환 되시겠다. 오늘 원달러 환율은 1420원을 돌파하며 이쯤이면 이제 많이 올랐다던 전망들을 싸그리 무시한 채 .. 2022. 9. 26.
다음은 부동산 폭락할 차례? (ft. 미국 30년 모기지 금리) 본격 금리 인상기에 주식 시장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곧 부동산 시장으로도 그 화마가 번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아래 그림처럼 미국 30년 모기지 금리가 치솟고 있다. 우리나라로 치면 은행에서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정도일 텐데, 이게 현재 6%를 넘어섰다. 단순 계산으로 3억원을 위 금리로 조달해 집을 샀다 가정하면 연 이자만 거의 2천만원에 이른다. 매달 월급에서 160만원 정도는 통장을 스쳐 지나가는 것. 원금도 30년 균등 분할해 매달 상환한다 치면 매달 250만원이 부동산 구매 비용으로 그냥 녹는 것이다. 월급 실수령으로 300만원 받으면 가처분소득이 50만원 남는다. 먹는 건? 입는 건? 의식주 말고? 부동산 시장도 차갑게 식어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뉴욕 맨해튼이긴 하지만 화.. 2022. 9. 23.
반응형